분류 전체보기390 평여2교 상량식을 다녀와서...^^ 국내에 최초로 도입된 Extradosed교인 평여2교의 시공이 거의 마무리 되어갑니다. 예산이 안나와서 질질 끌다가 녹산대교가 먼저 시공이 되어버렸죠... 12월 5일 평여2교 상량식이 있었습니다. (정확하게는 Key Seg 타설식이죠...) 현재 Extradosed교 구간은 중앙경간 Keyseg 타설만 남았구요.. (참 이제 타설 끝났겠네요...^^) 아직 종점부 접속교 하행선구간 시공이 남았습니다. 원래 이 카테고리를 만들면서 공종별로 정리를 해서 올리려고 했는데.. 게으른 관계로 소개만 해놓고 하나도 올리질 못했네요... 차차 올리겠습니다...^^ 상량식은 KeySeg에 사용되는 마지막 철근을 올리는 것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하부에서 바라본 평여2교... 중앙경간부터 R=870으로 곡선구간입니다. .. 2006. 12. 6. 군대교량이야기 - 교량전차 앞서 예전에 소개했던 MGB(간편조립교)에 이어 군에서 사용하는 교량을 소개드릴까 합니다...(앞으로도 몇개 소개해드릴께요...^^) 군에서 사용하는 교량은 장간조립교, 간편조립교등의 교량과 도하작전을 수행할때 사용하는 부교인 중문교, 경문교, 리본부교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교량들의 가장 큰 특징은 모두다 부재를 조립해서 사용하는 조립교라는 것입니다. 유사시 별다른 장비없이 병사들의 손으로 간단하게 가설할수 있어야 하니니까요... 하지만 탱크가 지나갈수 있는 교량을 사람의 힘으로만 가설한다는것은 힘든일이긴합니다... 또한 가설시간도 문제가 되겠지요... 간편조립교의 경우 25m지간장의 교량을 1개소대가 40분정도에 가설할수 있긴 하지만 일분일초가 아쉬운 전시에는 40분이란 시간도 길게 느껴지나 봅니다.... 2006. 11. 2. 남해대교 지난 여름 다녀왔던 남해대교... 이제야 정리하여 올립니다...^^ 남해섬을 육지와 연결시켜준 남해대교는 1968에 착공해서 1973년 완공되었습니다. 완공당시 완도, 강화, 안면, 거제도에 이어 다섯 번째로 완성된 연육교이며, 한국최초의 현수교로 5000톤급 선박이 통행이 가능하도록 항로폭 300m와 형하고 25m를 확보하였습니다. 교량이 위치하고 있는 노량리 주변은 섬진강 하구가 약 10km 위치하고 있으며, 수심이 36m나 되고, 조류가 빨라 장대교의 건설이 유일한 대안이었다고 합니다. 남해대교의 계획단계에서는 현수교와 트러스교가 논의되었지만, 결국 현수교가 채택되어 한 번의 설계 변경과정을 거쳐 완공하였습니다. 설계활하중은 당시 AASHO에 규정된 가장 큰 하중인 HS 20-44를 사용했으며, 기.. 2006. 10. 30. 한강의교량(8)...영동대교 한강의 교량 오랫만에 업데이트 합니다...^^;; 언제쯤 다 올릴수 있을지..^^ 영동대교는 강북과 강남을 잇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다리로써 청담동, 삼성동 일원의 상업업무 중심지역과 주거지역 발전을 도모할 뿐 아니라 기설치된 한남, 잠실대교에 밀집되는 교통량을 분배시켜 교통 소통량을 원할하게 하고 있다. 상부는 3경간 연속 강판형교로서 지간 50m의 동일한 구조형식을 가진 폭 25m, 6차선 교량으로 총 연장은 1,065m입니다. 또한 하부는 구주식 교각 16기중 15기는 우물통기초이고 1기는 직접확대기초이며 중력식 교대 2기는 직접기초와 파일기초로 각각 건설된 교량이다. 영동대교는 한강의 7번재 교량이며 총공사비 20억 6천 500만원을 들여 1970년 8월부터 1973년 11월에 시공되었다. 2006. 10. 23. "한국의 다리" 시리즈 우표 출시.... 체신청에서 2004년부터 일년에 한 묶음씩 "한국의 다리"라는 주제로 우표를 발행하고 있군요... 올해가 3번째입니다. 총 5개의 묶음을 낸다고 하네요.... 어렸을때 누가나 한번쯤은 해보았을법한 우표수집... 한번 해볼까요? ^^ 2004년 - 한국의 옛교량 진천농다리(충청북도 유형문화재 28호), 승선교(보물 400호), 금천교, 전곶교(사적 160호) 2005년 - 아치교 한강대교, 엑스포교, 통영대교, 방화대교 2006년 - 사장교 올림픽대교, 서해대교, 진도대교, 삼천포대교 이번이 세번째니까... 아직 두번이 더 남았네요... 아마 현수교 시리즈와 트러스교 정도 나오지 않을까 싶은데요... 설마 거더교가 나오지는 않겠죠? 근데... 우리나라에 현수교가 4개되나 모르겠네요.. 언듯 생각하기에는 시.. 2006. 9. 26. 대형굴착기 해상 운송중 진도대교에 충돌 대형굴착기가 해상 운송중에 진도대교 보강형과 충돌했다는군요... 직접 충돌하지 않은 난간까지 이렇게 될정도니 보강형에도 영향이 있을듯 싶은데요.. 뉴스 동영상을 보내 케이블 정착부 바로 옆에 충돌했는데 정착부에 충돌했으면 케이블에 문제가 생겨 일이 더 커졌을지도 모르겠네요... 물론 사장교등은 설계시 케이블 파단시에도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설계합니다. 만일을 대비해서요... 그리고 동영상에 충돌당시 CCTV 화면을 보시면 알겠지만 왜 비디오를 빠르게 재생하였을까요...? 원래속도대로 하면 "그림"이 나오지 않아서 그렇겠지요... -.-;; 빨리 재생하면 진동이 더 커지는것 같고.. '더 위험'해 보일테니까요.. 공영방송의 뉴스라는게 이렇게 자극적으로만 보도해야만 하는건지... 암튼 진도대교에 별 문.. 2006. 8. 28. 집근처 한강다리 야경들... 올 여름은 무척이나 더웠습니다. 덕분에 잠이 오지 않는 날이면 자전거를 타고 한강 둔치에 자주 나갔지요.. 한강 갈때마다 야경한번 찍어야지 하고 벼르다가 큰맘먹고(?) 카메라를 들고 나갔습니다. 집에서 가장 가까운 올림픽대교 부터 잠실철교, 잠실대교, 청담대교 까지 자전거를 타고 찍어보았습니다...^^ 삼각대가 싸구려라 셔터누를때마다 많이 흔들리네요... 결국엔 타어머 모드로 놓고 찍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다리사진은 광각으로 시원하게 찍어야 된다고 생각하는데... 렌즈 바꾸기 귀찮아서 28-75로만 찍었더니 확실히 광각이 좀 아쉽긴 하더군요... >> 올림픽대교 - 상류측에서 바라본 올림픽대교... - 올림픽대교 주탑부... 올림픽대교 케이블은 검은색 이지만 케이블 하단부 일부를 흰색으로 칠해 조명발을 잘.. 2006. 8. 23. 한강교량에 엘레베이터라구? 새로 바뀐 오세훈 시장이 구상중인 '한강르네상스'의 일환으로 한남·마포·동작·양화대교 4곳에 엘레베이터를 설치한단다... 이명박은 청계천(사실 천이라기 보단 인공 수로다.. 하천 바닥과 벽체에 차수를 해버렸으니깐...)에 장난치더니... 이번엔 한강이랑 한강다린가? 더군다나 교량의 차선을 줄이고 보도를 넓힐계획도 있단다... 한강다리가 차가 안막히는 것도 아니고... 거기다 보너스로 버스정류장까지...('이번 정류장은 마포대교위' 하는 안내방송이 나올지도..^^) 한강 둔치에 대한 접근성은 좋아지겠지만... 과연 버스타고 다리위에서 내려 한강둔치에 가는 사람이 많으려나...? 거기다가 집중호우때마다 한강둔치가 물에 잠기는데.... 그때마다 엘레베이터 유지관리는 어쩌시려우? 접근성이 문제라면 둔치 연결통로.. 2006. 8. 21. 썬로드의 다리여행기...5 (여행을 마치며...) 1박2일 동안 썬로드가 본 다리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정말 각 형식마다 하나씩 있네요...^^ >>남해대교(타정식현수교) -지간구성 : 130+390+130=650m >>창선교(강상판형교)-지간구성 : 84+3@90+84=438m >>단항교(PSC BEAM교)-지간구성 : 3@50=150m >>창선대교(3경간 단순 하로아치교)-지간구성 : 80+180+80=340m >>늑도대교(PSC BOX GIRDER교:FCM)-지간구성 : 90+160+90=340m >>창선대교(중로아치교:강리브+콘크리트보강형)-지간구성 : 29.235+143.530+29.235 = 202.0m >>삼천포대교(사장교)-지간구성 : 103+230+103=436m 아무런 계획도 없이 무작정 혼자 떠난 여행이었습니다. 처음.. 2006. 8. 7.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