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대교는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과 강남구 압구정동을 연결하는 다리로 길이 1,161m, 너비 35m(8차선)의 교량입니다. 한강의 11번째의 교량으로 영동의 신도시 개발에 따른 서울 동부권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하고 서울의 부도심으로서의 기능을 촉진하며 인구분산과 교통난 해소를 위해 1977년 4월 착공하여 1979년 10월 준공하되었습니다.
성수대교 하부전경
최대 경간장은 120m인 Gerber Truss 교로서 상부구조는 강재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구조는 콘크리트로 되어 있습니다. 기초는 하상구간에 우물통, 기타 고수부지 구간에는 말뚝기초를 사용하였으며 교각은 π형과 T형을 사용하였습니다. 불행이도 성수대교는 1994년 10월 21일 교각10번과 교각11번 사이의 내부 힌지부 상현재 핀플레이트와 수직재의 용접불량(용접면적 부족)에 의한 "피로균열"로 내부힌지 사이 48m가 붕괴되었습니다. 32명의 귀중한 생명을 앗아간 성수대교 붕괴사고는 우리사회의 부실관행에 경종을 울린 비극적인 사건이었으며 건설기술인에게는 반성의 계기가 되기도 하였죠...(전 그때 군대에서 속보를 봤던 기억이 나네요..) 그당시 언론은 모두 '시공부실'로만 몰아버렸죠... 성수대교 붕괴의 원인이 된 "피로균열"은 성수대교를 건설할 당시 개념조차 없었으며 붕괴될 당시에도 실무에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아마 "피로"라는 개념은 아마 학계에서나 알고 있었을 겁니다. 물론 용접불량이 1차적인 원인이겠지만 제가 생각하는 가장 큰원인은 유지관리 불량이라고 생각합니다. 설계하중을 초과하는 중차량 통행을 방치했기도 했으며 지은지 20년 가까이 되는 강교에 대해 요새는 그 흔한 점검조차 없었습니다. 멀쩡하던 부재가 갑자기 끊어지는건 아니니까요... 분명 붕괴전 징후가 있었을 겁니다.
성수대교 붕괴 개요
성수대교는 1998년 복구가 완료되었고 2004년 에 8차선으로 확장공사가 완료되어 있습니다.
정답은 22개입니다. 모전교에서 시작돼 고산자교에 이르는 청계천에는 모두 22개의 다리가 있습니다.
청계천의 다리중 광통교, 장통교, 수표교, 세운교, 새벽다리, 나래교, 맑은내다리, 두물다리 8개는 보도교이고 나머지 14개의 다리는 차도교 입니다.
작년까지 종로에 회사가 있어서 (올해 서울역 근처로 이사갔습니다만...) 늘 상류부터 하류까지 교량사진찍으면서 일주해야지 하고 생각만 하다가 결국 못하고 말았습니다. 언젠가는 하겠지요... --;
1. 모전교 위치 : 무교동 길 제원 : 폭 27.5m, 연장 19.5m 특징 : 전통 대청양식을 도입한 아치교 유래 : 옛 교량명칭으로 길모퉁이에 자리하고 있는 과일을 파는 과전(果廛)을 '모전[隅廛]'’이라고 불렀는데, 이 다리가 바로 그 모전 부근에 있었으므로 그렇게 이름하였다 2. 광통교 위치 : 서린동 앞 제원 : 폭 16m, 연장 12m 특징 : 정월 대보름이면 도성의 많은 남녀가 답교놀이를 하던곳으로 유명하였음 유래 :지금 서린동 124번지 부근에 있었던 다리인데 광통방에 있는 큰 다리였으므로 처음에는 대광통교라 하였다. 특히 옛부터 서울에서는 큰 다리로 알려져 정월 대보름이 되면 도성의 많은 남녀가 이 곳에 모여 답교(踏橋)놀이를 하던 곳으로 유명하였다.
3. 광교 위치 : 남대문로 제원 : 폭 45.5m, 연장 23.9m 특징 : 옛 멋과 미래와의 만남을 상징하는 다리(광통방에 있던 크고 넓은 다리라는 의미) 유래 : 광통방에 있던 크고 넓은 다리라는 의미에서 옛부터 광교라 일컬어졌으며, 현재 광교 사거리가 이 위치에 해당된다.
4. 장통교 위치 : 관철동 제원 : 연장 23.5m 특징 : 관철동과 장교동을 잇는 다리 유래 : 현 중구 장교동 51번지와 종로구 관철동 11번지 사이 청계천에 놓였던 다리이다. 이 다리 근처에 ‘장찻골’로 불리는 마을이 있었다 하여 이 부근에서는 ‘장찻골다리’라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원명은 중부 장통방에 있던 다리이므로 장통교, 혹은 줄여서 장교라 하였다.
5. 삼일교 위치 : 삼일로 제원 : 폭 43.5m, 연장 22.7m 특징 : 인사동, 명동성당 등을 연계한 근대 건축의 이미지 반영 유래 : 1919년 3월 1일 탑골공원에서 독립선언을 한 뒤 전국에서 일제의 탄압에 항거하는 시위운동을 벌였기 때문에 이를 기념하기 위해 명명된 삼일로 인근에 위치하여 명칭 인용했다.
6. 수표교 위치 : 수표교다리길 제원 : 폭 8m, 연장 25.7m 특징 : 난간 및 석재마감을 통한 전통미 재현 유래 :수표교가 놓여진 것은 1420년(세종2)으로 당시 이곳에 마전(馬廛)이 있어서 마전교라 불렀으나, 1441년(세종 23)에 다리 옆에 개천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서 수표석(水標石)을 세운 이후 수표교라고 하였다. 수표교의 원형은 1959년 청계천을 복계할때 장충당공원으로 옮겨졌다.
7. 관수교 위치 : 돈화문로 제원 : 폭 25.5m, 연장 22.6m 유래 : 관수교(觀水橋)는 1918년 일본에 의해 지금의 청계 3가 사거리에 놓여있던 다리이다. 이곳에 청계천 준설사업을 위한 준천사가 설치되어 있었고 준천사에서 청계천의 수위를 관측하였다는 데서 유래한 옛 교량 명칭으로, 현 관수동에 위치
8. 세운교 위치 : 세운상가 앞 제원 : 폭 50m, 연장 19.5m 특징 : 세운(조명)상가 특성을 활용해 빛을 표현 유래 : 현 세운상가에 인접하여 세워지는 다리로, 세운상가의 명칭을 인용
9. 배오개다리 위치 : 배오개길 제원 : 폭 25.8m, 연장 23.5m 특징 : 배오길을 넘는 사람들의 만남을 상징화 유래 : 현 종로4가 네거리에 배오개(梨峴)라는 고개가 있었으므로 배오개길이라 명명한 이름에서 유래
10. 새벽다리
위치 : 방산시장 앞 제원 : 폭 9.8m, 연장 23.5m 특징 : 시장 천막의 이미지를 막구조로 적용하여 동대문 재래시장의 역사성 및 향수 연출
11. 마전교 위치 : 훈련원로(청계5가) 제원 : 폭 40.5m, 연장 21.6m 특징 : 빛의 마을(창선)과 우마(牛馬 )시장의 유래표현을 위해 전통문살모양의 조명과 청동말(馬)상 배치 유래 : 인근 옛교량 명칭으로, 다리 부근에 우마(牛馬)를 매매하는 마전(馬廛)이 있었던 것에서 인용
12. 나래교 위치 : 평화시장 앞 제원 : 폭 6.0m, 연장 22.9m 특징 : 나비의 힘찬 나래짓을 이미지화 하였으며, 3차원 아치와 케이블로 나비형상화 유도 유래 : 나비가 날개를 활짝 편 형상의 다리로, 동대문 의류상권의 중심지역에 위치하는 교량. 인근 동대문 의류상권이 세계 패션 1번지로 비상하는 의미를 담음
13. 버들다리 위치 : 통일상가 앞 제원 : 폭 17.0m, 연장 23.3m 특징 : 사교에 따른 보행자 동선을 위해 차보도 분리 파골라 설치로 도심 속의 정원 연출 유래 : 과거 오간수문 상류에 왕버들이 많았었다는 데서 명칭을 인용하였으나 서울시 지명위원회에서 재검토 권고로 공식명칭 사용 보류
14. 오간수교 위치 : 흥인문로(청계6가) 제원 : 폭 59.9m, 연장 23.0m 특징 : 사각지대의 공간을 녹지로 조성하여 끊어진 남북 노지축을 연결하며, 동대문과 연계한 옛 성곽 복원 유래 : 동대문에서 을지로 6가로 가는 성벽 아래 청계천 6가에 있던 다리이다. 홍예문(紅霓門)으로 다섯 칸으로 되었다 하여 "오간수다리" 또는 "오간수문" 이라 하였다
15. 맑은내다리 위치 : 동평화상가 앞 제원 : 폭 13.5m, 연장 26.5m 특징 : 나비의 힘찬 비상을 아치구조와 크로스 케이블로 조화시켜 힘찬 도약 연출, 패션 중심의 상징성 부여 유래 : 청계천을 순 우리말로 바꾼 이름으로 청계천을 상징할 수 있는 다리 명칭으로 결정
16. 다산교 위치 : 다산로(청계7가) 제원 : 폭 44.4m, 연장 29.6m 특징 : 주거지의 시작지점으로 친 자연적 이미지를 반영한 현대적 교량 사장교의 주탑을 풀잎모양으로 형상화 유래 : 조선중기 실학자 정약용의 호를 붙인 도로인 다산로에 인접한 다리
17. 영도교 위치 : 영미교길 제원 : 폭 26.2m, 연장 30.1m 특징 : 단종과 정순왕후의 슬픈 이별의 역사를 반영, 경복궁의 열주와 옛 영도교의 석교 이미지를 복원하여 역사를 기리는 교량 연출 유래 : 단종이 왕위를 빼앗기고 노산군으로 강봉되어 영월로 귀양갈 때 그의 비인 정순왕후 송씨가 이곳까지 나와 서로 영영 이별하였다 하여 영이별다리 혹은 영영건넌다리라고 전해지는 전설에서 유래된 교량명
18. 황학교 위치 : 난계로 제원 : 폭 32.6m, 연장 45.1m 특징 : 황학동 도깨비 시장의 장소성 반영 유래 : 옛날 이곳 논밭에 황학(黃鶴)이 날아왔었다는 전설에서 비롯됨
19. 비우당교 위치 : 새말길 제원 : 폭 26.5m, 연장 46.6m 특징 : 뉴타운의 미래지향적 이미지 반영 유래 : 조선 세종 때 대표적인 청백리로 알려진 하정 유관선생 댁이 이 다리 근처였는데, 그의 청렴함은 비가 오는 날에도 방안에서 우산을 받쳐들고 비를 피했을 정도였다고 하여 유래한 이름임
20. 무학교 위치 : 무학로 제원 : 폭 34.8m, 연장 43.6m 특징 : 햇살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반영 유래 : 조선 개국초에 이 도로의 종점지역인 왕십벌 지역에 도읍을 정하려고 태조 이성계를 따라 地相을 보러 다니던 高僧 無學大師에서 유래한 무학로의 이름을 인용
21. 두물다리 위치 : 오성빌딩 앞 제원 : 폭 2.9~7.8m, 연장 43.8m 특징 : 풍류교/휘몰아치는 바람, 유니세프 지정 “어린이 다리” 유래 : 다리 위치가 과거 청계천 지류가 합류되던 지점으로 두개의 물이 만나는 다리라는 의미이며 다리모양도 서로 만나는 형상으로 되어있음
22. 고산자교 위치 : 고산자로 제원 : 폭 2.9~7.8m, 연장 43.8m 특징 : 하천층 경관에서 녹지의 단절 이미지 극복 유래 : 조선시대 대동여지도를 만든 김정호의 호를 따서 지은 다리로, 인근 같은 이름의 도로인 '고산자로'와 연관되어 붙여짐
FCM교량에서는 Key Seg라는 것이 있습니다. 양쪽에서 캔틸레버 상태로 시공하다가 마지막에 양쪽을 연결하는 세그입니다.
키세그 설치시 양쪽의 Elevation이 맞지 않으면 곤란하므로 시공중 캠버관리를 하여 양쪽 Level을 계획대로 시공합니다. (캠버관리에 대해서는 할말이 많지만... 넘 길어질것 같아 생략합니다.)
평여2교의 측경간 Key Seg는 대안설계 시 고려되지 않았으나 F/T로의 Level 조정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되어 시공중에 추가 검토하였습니다. 상부슬래브에 설치되는 X-TYPE 강봉으로 좌우측 켄틸레버 Level을 조정하고 H-PROP을 박스 상단과 하단에 설치한 후 하부텐던(C28)을 30% 인장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실시하였습니다.
콘크리트 타설 완료 후 설계기준강도의 45% 도달시 콘크리트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텐던(C29)을 70%까지 인장하고 소정의 강도(32MP) 발현 후 나머지 하부텐던을 인장하여 경간을 폐합하였습니다.
>> H-prop 및 X-type강봉 설치
H-prop 설치
X-Type 강봉 설치
>> 콘크리트 타설 및 하부텐던 인장
키세그 콘크리트 타설
하부텐던 인장
>> 평여2교 중앙부 키세그 설치 전경
중앙부 키세그 설치전경
에휴~ 드디어 평여2교 시공 자료를 다 올렸네요... (2005년 자료들입니다..--;;;)
위의 사진이 2006년에 찍은거구요... 지금은 시공이 완료되어 있습니다.
아직 개통은 하지 않았지만... 곧 개통할겁니다. (아마 여수 Expo때는 개통이 되어있겠지요...)
최근 사진은 구하는 대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참... 다음부터는 또하나의 Extradosed교인 금가대교 시공에 대해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1)케이블 시스템
평여2교의 사재 케이블은 0.6" - HDPE Strand 27EA를 사용하였으며 제원은 아래와 그림과 같습니다.
새들부 및 정착부에서는 그라우팅시 HDPE 피복과의 접착과 사재인장시 Wedge의 Slip을 방지하기 위하여 Strand의 피복과 왁스를 제거하여 시공하였습니다.
>>사재케이블 단면 및 Strand상세
새들 시스템은 새들 프레임에 직경 267.4mm의 외관을 용접하여 연결하고, 외관 내부에 216.3mm의 내관을 설치하였으며, 새들입구는 베어링 플레이트, 링너트와 PE PIPE, 캡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착구 시스템은 세그먼트 시공시 가이드 파이프를 설치하고 PE관과 내관을 열수축 튜브로 연결하였으며, 내관에 고무댐퍼를 설치하였습니다.
>>새들 시스템 상세
>>사재정착구 시스템
사재정착구 시스템 상세
2) 케이블공
PE관은 절단면을 잘 정리하고 200℃로 가열・융착하여 연결한 후(참 신기했습니다...^^) 동바리를 이용하여 거치하였습니다.
정착구 내관과 PE관을 열수축튜브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정착구 및 새들부 시스템을 설치합니다.
>> PE관 융착 및 거치
사재 PE관 융착
사재 PE관 거치
>> 열수축튜브 설치 및 새들부 시스템설치
열수축 튜브 설치
새들 시스템 설치
새들부 및 정착부에서는 그라우팅시 HDPE 피복과의 접착과 사재인장시 Wedge의 Slip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연선의 피복을 제거하고 제유제를 이용하여 왁스를 제거한 후 정착구에서 PE관 내부로 스트랜드를 삽입하였습니다.
>> 사재 Strand 피복, 왁스제거 및 Strand 삽입
사재 Strand 피복 및 왁스제거
사재 Strand삽입
사재 케이블의 인장은 4개소에서 동시에 진행되었으며 750ton 멀티잭을 이용하여 50bar 씩 단계적으로 인장하였습니다.
케이블 인장... 작업이 거창해 보여도 멀티잭으로 인장하니 한 30분정도 밖에 안걸리더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