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90 부산 영도다리 2011년에 상판 들린다 부산의 명물인 영도다리가 2011년 초에는 상판을 번쩍 들어올려 배를 통과시키는 옛 모습대로 복원된다. 부산시는 "2005년 1월부터 진행해 온 영도다리 확장복원을 위한 설계와 공사일정을 확정했다"고 22일 밝혔다. 새 영도다리는 기존 다리가 처음 지어질 때와 똑같은 모습으로 다시 건설된다. 다만 원활한 차량소통을 위해 현재의 왕복 4차로를 6차로로 넓히고 다리 아래로 통행하는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맞춰 상판이 현재보다 조금 높게 설치된다. 새 영도다리 설계에 따르면 다리의 길이는 214.7m로 현재와 같고 폭은 18.3m에서 24.3m로 넓어진다. 또 수면에서 다리 상판까지의 높이는 현재의 7.06~7.22m에서 8.19~8.53m로 최대 1.3m 높아진다. 새 영도다리는 문화재로 지정된 기존 다리의 .. 2007. 11. 23. 화개나루와 남도대교 섬진강 물빛 짙어지면 봄님 온다더니 젖먹이처럼 늘어섰던 나루 없고 기억 저 편으로 사라진 '줄배'엔 장꾼 대신 알음알음 관광객만 찾아 이젠 남도대교가 兩道 사투리 이어 "다시 노를 저을 수 있다면…." 전남 구례군 운천나루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손영일 씨가 섬진강 줄배의 추억을 되살리고 있다. 이 나룻배는 평상시 할일이 거의 없다. 박창희 기자 '옥화주막'은 시끌벅적했다. 한 무리의 길손들 틈에 장꾼들이 끼어 막걸리를 들이켜고 있었다. 식탁에는 희미하게 김이 나는 재첩국과 아사삭한 은어튀김이 올려져 있다. 육자배기라도 터져나올 법한 주막 문전에서 '옥화'는 파전을 부치느라 바빴다. -장사가 잘 됩니까? "잘 되지요. 항시 장이 서니까예." -하루에 얼마나 팝니까? "짬이 없지예. 평일엔 한 백명, 주말엔 .. 2007. 11. 23.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3)...거더교⑧(PSC빔교) ※ 본 포스트는 아래와 같이 새롭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2021.04.13 - [교량의종류] - 3.3 (2) PSC빔교 PSC빔교는 I형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 위에 교량 슬래브를 얹은 형태의 교량으로 주로 20~40m의 단지간에 많이 적용되는 교량입니다. 다른 거더교에 비해 공사비가 저렴하여 그리 긴 지간장이 필요없는 경우에 많이 사용됩니다. 공사비가 저렴하다 보니 민자도로는 거의다 PSC빔으로 많이 설계하더군요..--;; PSC빔교는 30m 지간에서 형고가 보통 2m 정도로 형고가 다소 높은 편인데 하부에 도로가 있거나 해서 형하공간을 확보하기 PSC빔교에 비해 형고를 낯춘 교량들이 있습니다. Preflex교(약간 개념을 다르지만 PSC빔교에 포함시켰습니다.), IPC거더교, SPC거더교, .. 2007. 11. 23. 광양대교 착공식 여수시와 광양시가 묘도를 사이에 두고 다리로 이어질 전망이다. GS칼텍스 장구미 사택 운동장에서는 19일 박준영 전라남도 지사를 비롯한 오현섭 여수시장, 이성웅 광양시장, 공사관계자와 시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여수국가산단 진입도로 개설공사 착공식을 가졌다. 여수 월내동에서 묘도를 거쳐 광양금호동으로 연결되는 이 교량은 총 길이 8.547㎞의 4차로로 8천8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자되는 대규모 사업으로 11월 착공식과 함께 공사에 들어가 오는 2012년 10월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드디어 시공에 들어갔군요... 여수산단 진입도로에는 광양대교(일명 1545브릿지)가 계획되어 있습니다. 중앙경간 1545m의 현수교로 완공되면 세계 3위의 지간장을 자랑한다 합니다. 시공사인 대림산업에서는 그 현장 서로가려고 .. 2007. 11. 22.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3)...거더교⑦(PSC박스거더교가설공법) ※ 본 포스트는 아래와 같이 새롭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2021.06.08 - [교량의종류] - PSC박스거더교 가설공법 PSC박스거더교는 가설 방법에 따라 FSM, ILM, MSS, FCM, PSM 등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1. F.S.M. (Full Staging Method) FSM(동바리공법)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간 전체에 동바리나 벤트를 설치하여 타설된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에 도달할 때까지 콘크리트의 자중 및 거푸집, 작업대등의 중량을 동바리나 벤트가 지지하는 방식으로 PSC콘크리트 가설 공법 중 가장 일반적인 공법입니다. FSM공법은 다른 공법에 비해 특수한 거푸집 장비가 필요 없어 비용이 저렴하고 비교적 간편한 장점이 있습니다. FSM공법은 교각이 높지 않고 평탄한 지형에 적용하며 반.. 2007. 11. 22.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3)...거더교⑥(PSC박스거더교) ※ 본 포스트는 아래와 같이 새롭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2021.04.23 - [교량의종류] - 3.3. (5) PSC 박스 거더교 먼저 PSC란 무엇인가 부터 알아봅시다. PSC는 PreStressed Concrete의 약자로 "미리 응력을 준 콘크리트"라고 직역할수 있겠네요... 여러분들도 아시다 시피 콘크리트는 압축응력에는 강하지만 인장응력에는 약합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장력에 강한 철근을 넣은 것을 RC(Reinforced Concrete, 철근콘크리트) 라고 합니다. 하지만 콘크리트 자체의 자중이 너무 무거워 RC구조로는 지간장을 긴 교량에 적용할수 없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Eugene Freyssinet라는 프랑스 공학자가 포스트텐션 시스템을 개발하여 널리 사용되.. 2007. 11. 22.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3)...거더교⑤(강상판형교) ※ 본 포스트는 아래와 같이 새롭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2021.05.23 - [교량의종류] - 3.3 (6) 강상판형교 강상판형교는 이름 그대로 교량의 상판을 강재로 제작한 교량을 말합니다. 스틸박스 거더교(강합성상형교)와 달리 상부슬래브를 콘크리트가 아닌 철판으로 제작하여 자중을 감소시켜 스틸박스거더교 보다 보다 지간장을 길게 설계할수 있습니다. 강상판형교는 지간장 70~80m 정도가 경제적이며 강재가 많이 소요되어 다소 고가입니다. 또한 상판의 U-리브 등을 현장에서 용접을 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조금 까다롭습니다.(현장에서 용접을 하게 되면 공장용접보다 용접의 질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용접검사등을 수행해야 합니다.) 거더교로는 그리 많이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거더의 자중이 가벼운 이유로 .. 2007. 11. 21. 웃개나루와 남지철교 굴곡의 세월 흐르는 강위로 다시 희망이 가로지르고… "일제 잔재라고 말도 많지만 우리 피땀서린 엄연한 삶의 일부" 낙동강 민초들 애환과 추억의 상징 나루터 옛 명성은 역사속 기록만 신·구 철교, 상생으로 나아가야 ●먼 데서 온 손님 2006년 7월16일, 창녕 남지철교에 귀한 손님 두 분이 찾아왔다. 일본인 나가지마(中島) 여사와 그의 장성한 아들이었다. 60대 중반의 이 여인은 감회에 젖어 철교를 살폈다. 녹슨 철골을 손으로 만지고 리벳 이음까지 관찰하는 모습은 여느 관광객과 달랐다. 이들은 놀랍게도, 일제시대 남지철교와 의령 정암교를 설계한 이야마(井山安藏) 씨의 딸과 손자였다. 6·25전쟁 직후 폭파된 남지철교를 배경으로 여학생들이 사진을 찍었다. 교각 끝에 한 사람이 강을 보고 서 있다. 이 사진.. 2007. 11. 21.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3)...거더교④(스틸박스거더교) ※ 본 포스트는 아래와 같이 새롭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2021.04.20 - [교량의종류] - 3.3 (4) 스틸박스 거더교 스틸박스거더교는 철판으로 제작된 박스형태의 거더교로 지간장 50~60m가 경제적입니다. 스틸박스거더교는 강합성상형교(슬래브와 거더의 합성구조 + 상자형 거더) 라고도 부르는데 강교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교량형식이기도 합니다.(고속도로나 국도교량의 거의 반정도가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스틸박스거더교는 곡선교나 확폭부에 적용하기가 좋아(Box를 공장에서 제작해오기 때문입니다.) 고속도로 IC상의 곡선교는 거의 대부분 스틸박스 거더교로 설계되고 있습니다. 스틸박스거더교는 보통 공장에서 제작된 박스를 현장에서 볼트나 용접 이음으로 조립하여 크레인으로 가설하여 공기가 빠르고 콘크리트.. 2007. 11. 20.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