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90

예천 '묵은 여울'의 외나무다리 복사꽃 필 때면 철거돼야 하는 운명 겨우내 장정들은 오가며 바지런을 떨고... 외나무다리는 외롭다. 사람이 건너가도 한 명이고 달빛이 내려앉아도 한 뼘이다. 그래서 임이 생각나는지 모른다. 복사꽃 능금꽃 그늘에 어리는 눈썹달같은 임이. 그런 눈썹달을 닮은 어여쁜 임이 있을테다. 지금은 싸늘한 별빛 속에 숨어 들었을지라도. 아무래도 좋다. 떠오르는 것이 추억이고 삶의 너끈함이라면. 경북 예천군 보문면 신월1리 내성천(乃城川)에는 삶의 외줄같은 외나무다리가 있다. 이 다리는 초겨울에 태어나 봄이 되면 죽는다. 죽고 살고는 자연이 결정한다. 내성천에 눈석임물이 섞이고 강물이 불어나면 외나무다리는 발붙일 곳을 잃는다. 강물이 줄어 유순해지는 초겨울이 되면 주민들은 다시 어기영차 힘을 합쳐 외나무다리를 놓는다. .. 2007. 11. 20.
누가 떠나고 남았나... 이 글은 느림과 빠름, 만남과 떠남에 대한 명상이다. 20세기를 숨가쁘게 건너오면서 우리가 잃은 것과 얻은 것, 붙잡은 것과 놓쳐버린 것을 짚어보려 한다. 생각하면 많은 것들이 너무 빠르게 지나가고 흘러갔다. 단순한 소통을 문화라 하고 질주를 문명이라 우기진 않았던가. 나는 빠름 속에서 느림의 급소를 포착하고자 한다. 이것을 이야기할 상징적이고 구체적인 장소가 나루와 다리이다. 다리에 새겨진 시간과 추억을 안주로 어느 나루터 주막에서 술 한잔 걸치고 싶다. 부디 나의 나룻배에 당신은 행인이 되시길…. 잠자는 감성을 깨워 떠나는 여행의 아침은 설렌다. ● 마지막사공 최보식(65) 씨는 낙동강 중류 대암나루(대구시 달성군 구지면)의 현역 뱃사공이다. 요즘도 그는 나룻배(발동기가 달린 철선)를 부리며 강변 주.. 2007. 11. 20.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3)...거더교③(플레이트거더교) ※ 본 포스트는 아래와 같이 새롭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2021.04.15 - [교량의종류] - 3.3 (3) 플레이트 거더교 플레이트거더교는 강판형교라고도 합니다. 철판으로 I형의 거더를 만들고 그위에 슬래브를 얹은 형태의 교량입니다. 플레이트거더교는 보통 지간장 50m 정도가 경제적으로 Steel Box Girder교와 함께 가장 많이 시공되었던 강교 형식입니다. 하지만 브레이싱등 부재가 많고 복잡하며 강재량이 많이 소요되며 곡선교에 적용성이 좋지않아 최근에는 별로 사용되지 않는 형식입니다.(최근에 설계되는걸 못봤습니다.) (예전에 많이 사용되었던 이유는 스틸박스거더교에 비해 계산이 더 간단해서가 아닌가 싶습니다.) 한때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거더의 크기를 키우고 고강도 강재를 사용하여 브레이싱 .. 2007. 11. 19.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3)...거더교②(T형교) ※ 본 포스트는 아래와 같이 새롭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2021.04.08 - [교량의종류] - 3.3 (1) T형교 T형교는 단지간의 교량에 주로 적용되는 형식입니다. 30m 정도까지의 지간에 대하서 주로 적용되며 교량 단면은 아래그림과 같습니다. T형교의 콘크리트 바닥판은 교량방향으로는 주형의 플랜지로, 교량직각방향으로는 슬래브로 작용합니다. 자중이 슬래브교보다 적어 슬래브교보다 조금 더 지간장이 긴 경우에 적용되지만 연속교로서의 효율은 좀 떨어집니다. T형거더거 2개인 교량을 Double T형교라고 하는데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50m 지간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Double T형교의 경우 거더사이가 넓어 횡방향 텐던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2007. 11. 19.
맛있는 콘크리트라고? 지난 8월발생한 미국 미네소타 주 미내애폴리스의 고속도로 다리가 붕괴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콘크리트 교량에 대한 안전점검이 강화되고 있다. 이번 붕괴사고의 원인은 콘크리트 부식에 따른 교량의 노후화. (강재의 부식아니냐? 언제는 새똥때문이라며?) 현재 미국의 경우 약 7만개가 넘는 콘크리트 교량에 심각한 결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콘크리트 교량의 안전을 위협하는 주범은 다름 아닌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물이다. 특히 콘크리트의 작은 구멍에 스며든 물은 교량 외부에 균열을 일으키고 내부의 철근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하지만 앞으로는 더 이상 물로 인한 교량 붕괴 사고를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최근 요르단 과학기술대학교의 아우니 알 오톰 박사가 가압 등 별도의 조치 없이도 콘크리트 내구성을 강.. 2007. 11. 19.
이다리가 녹으면 지구는... 기후 변화에 대한 전 세계적인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다음 달 중순 미국 뉴욕 유엔본부 앞에 얼음다리가 세워진다. 노르웨이 예술가 Vebjørn Sand(바비에른 산) (검색해보니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설계했던 다리를 만든 사람이네요...^^)가 만들 이 다리는 날씨가 따뜻해짐에 따라 자연히 녹아내리면서 지구 온난화의 심각성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게 된다. 그는 지난해 남극에도 얼음다리(사진)를 만들었다. 한편 이 기간 중 유엔본부 내에서는 기온 상승으로 빙하가 사라지는 극지방의 실상을 담은 10여 개국 사진작가의 작품도 전시될 예정이다. 얼마전 봤던 '불편한 진실'이라는 다큐멘타리 영화가 있었다.(회사 오너가 무척 강조해서 전직원이 다 시청했었다...) 미국 대선주자였던 엘고어가 환경운동가로 변신해 지구온난.. 2007. 11. 17.
군대교량 이야기...리본부교 오랫만에 군대교량 이야기를 하는군요... 이번에 소개할 군대교량은 '리본부교'입니다. 우리군에도 물론 도입이 되어 있습니다. 군단 공병여단 산하 도하중대가 있는데 거기서 주로 다루게 되져.. 부교는 말그대로 물에 떠있는 교량을 말합니다. 리본 부교는 물에 뜰수 있도록 제작된 교량 부재를 연결하여 완성하는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리본부교의 부재를 자세히 살펴보면... 양쪽 진입부분의 Ramp Bay와 일반 Interior Bay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bay 하나 하나는 아래그림처럼 트레일러에 실어 나릅니다. bay는 4등분으로 접혀있으며 정면에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 Bay를 트레일러에서 물속에 집어넣으면 그림과 같이 펴지게 되죠.. Bay가 펴지는 모습이 리본이 펴지는것 같다고 해서 Ribbon부교.. 2007. 11. 12.
평양에 나타난 UFO? 얼마전 올린 평양의 사장교인 청류교 포스트중 청류교 기념우표를 보다 뭔가 이질감을 느껴 자세히 보니... 헉... 좌측상단에 저건 혹시... UFO??? 확대해서 자세히 보자... 역시 UFO가 맞다... 원반형의 UFO가 평양 상공을 날고 있는 것이다... 도대체 왜 UFO를 그려 넣은걸까.... 아마 청류교는 북한에서 가설된 최초의 사장교 일것이다. 우표상단에 "기념비적 창조물" 이라는 문구를 보면 아아 이교량에 대한 의미가 상당히 큼을 알수있다. 청류교 포스트에서 교폭은 30m(왕복 6차선+보도)이상, 지간장이 200~250m정도 될거라고 추측했는데... 교량이 완공될 당시인 1995년도에는 우리나라에도 이정도 규모의 사장교는 없었다.(서해대교가 2000년 완공이니 말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다면.. 2007. 11. 12.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3)...거더교①(총론) ※ 본 포스트는 아래와 같이 새롭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2021.03.28 - [교량의종류] - 3.3 거더교 드디어 거더교로 넘어왔군요...(한 3년 걸렸습니다...^^) 거더교는 종류가 많으니 먼저 거더교에 대해 정리를 한번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거더교는 교량형식중 가장 많이 쓰이고 일반적인 형식입니다. 거더(Girder)는 우리말로는 형(桁), 들보, 대들보 정도로 해석할수 있겠는데요... 거더는 아래 그림과 같이 상부슬래브에 가해지는 하중(차량이나 사람)을 버티어 주는 대들보같은 부재를 말합니다. 거더교인 경우 이러한 보를 Main Girder(주형) 이라 하여 아치나 사장교 현수교에서의 보강형과 구분합니다. (보강형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이러한 거더의 형태에 따라 거더교에는.. 2007.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