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형교는 단지간의 교량에 주로 적용되는 형식입니다.
30m 정도까지의 지간에 대하서 주로 적용되며 교량 단면은 아래그림과 같습니다.
T형교의 콘크리트 바닥판은 교량방향으로는 주형의 플랜지로, 교량직각방향으로는 슬래브로 작용합니다.
자중이 슬래브교보다 적어 슬래브교보다 조금 더 지간장이 긴 경우에 적용되지만 연속교로서의 효율은 좀 떨어집니다.
T형거더거 2개인 교량을 Double T형교라고 하는데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50m 지간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Double T형교의 경우 거더사이가 넓어 횡방향 텐던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Double T형교
얼마전 발생한 목포광양의 MSS 거더의 추락 사고때 적용되었던 형식이 PSC Double T형교입니다.
'교량의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3)...거더교④(스틸박스거더교) (17) | 2007.11.20 |
---|---|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3)...거더교③(플레이트거더교) (3) | 2007.11.19 |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3)...거더교②(T형교) (2) | 2007.11.19 |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3)...거더교①(총론) (19) | 2007.11.11 |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2)...슬래브교 (9) | 2007.11.07 |
상부구조 형식에 따른 교량의 종류(1)...총론 (33) | 200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