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90

강경 황산나루 옛 포구의 쇠락을 슬퍼할 필요없다 저 황홀한 노을도 하루의 소멸이 아닌가 충남 논산시 강경읍 황산나루(강경포)의 노을. 금강을 물들이며 붉게 타는 노을은 '아름다운 소멸'을 생각하게 한다. 논산시 제공 황산대교를 지났다. '갱갱이'다. 갱갱이는 충남 논산 근방에서 강경(江景)을 이르는 말. 강경을 충청도 사투리로 길게 발음한 거란다. 해가 금강을 건너 서해로 스르르 넘어간다. 노을이 곱다. 읍내에 들어서자 젓갈 냄새가 온몸에 감겨온다. 향긋하다. 비린내를 풍길 것이란 예상이 보기좋게 빗나갔다. '갱갱이'는 정겨운 우리말임에도 요즘 쓰는 사람이 별로 없다고 한다. 소멸 직전의 토속어 한마디가 강경포(황산나루)의 성쇠를 대변하는 듯하다. 포구가 쇠락하면서 말이 헐거워졌고, 동시에 삶이 팍팍해졌다. 강경포는 .. 2007. 12. 2.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5)...아치교⑧(스팬드럴 형상에 따른 분류) ※ 본 포스트는 아래와 같이 새롭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2021.10.24 - [교량의종류] - 3.5. (3) 아치교의 분류-4(스팬드럴 형상) ① 충복식 아치교 충복식 아치교는 아치리브 연단에 측벽을 두고 아치리브 위에 토사를 성토한 아치교로 강교에서는 고려될 수 없는 콘크리트 아치교 고유의 구조형식입니다. 충복식 아치교의 특징은 성토재의 영향이 크고 상로식 이외에는 불가능하다는 점에 있습니다. 또, 힌지식 아치의 사례도 있긴 하지만 고정식 아치가 적당합니다. 지간장은 로마의 Risorgimiento교와 같이 지간 100m의 충복 아치교의 사례도 있으나 대부분은 50m 이하로 계획합니다. 국내에도 화진포교(고성), 신리하교(강릉) 등이 있습니다. 이 형식은 일반 토공부와 같이 동일 구조로 연속적으로.. 2007. 11. 30.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5)...아치교⑦(아치리브 형식에 따른 분류) ※ 본 포스트는 아래와 같이 새롭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2021.10.24 - [교량의종류] - 3.5. (3) 아치교의 분류-2(아치리브 형상) ① Solid-Rib Arch Solid-Rib Arch는 단일한 부재로 아치리브를 구성한 것으로 아치리브가 날렵하여 미관이 우수합니다. (부재가 간결해서 미관이 우수하다 하는데, 이건 개인차가 있습니다. 개인에 따라서는 브레이싱이 복잡한것이 더 미관이 우수하다고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지간이 긴 경우에는 단면이 커져 비경제적이므로 보통 Braced-Rib Arch를 사용합니다. Solid-Rib Arch는 주로 콘크리트 아치교에 사용된됩니다.(당연하겠죠..^^) ② Braced-Rib Arch 아치 지간이 길 경우 Solid-Rib Arch는 단면의 효.. 2007. 11. 30.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5)...아치교⑥(구조계에따른 분류2) ※ 본 포스트는 아래와 같이 새롭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2021.10.24 - [교량의종류] - 3.5. (3) 아치교의 분류-3(아치구조) ⑤ 랭거형(Langer Girder) 랭거교는 고안자인 오스트리아의 Langer의 이름을 딴 것으로 아치리브 강성보다 보강형의 강성이 크고 수직재와 다른 부재와의 결합을 Pin 구조로 가정하여 아치리브가 주로 축력을 전담한다. 그러나 아치리브와 보강형의 접속부가 복잡하고, 로제 아치에 비해 아치리브의 강성이 작으므로 수직재(Hanger)의 간격이 좁아지는 단점이 있다. 50~200m까지 적용할수 있다고 알려져있다. Hanger를 수직재 대신 사재를 사용하는 교량은 트러스 랭거형(Truss Langer Girder)라고 한다. ⑥ 로제형(Lohse Girder) 로.. 2007. 11. 29.
밀양 배다리 1500여년 밀양 나루史, 이젠 배 없이 흐른다 배가 무겁다. 한쪽으로 쓸린다. 이고 지고 어디를 가시나. 지게를 진 사람, 연장을 든 일꾼, 상투 틀고 탕건 쓴 양반, 머리에 수건 두른 여인네. 모두 카메라를 의식한 표정들. 까까머리 아이의 천진한 눈빛, 배고픔을 노려보는 듯. 가운데 앉은 이는 퉁소를 부시나 피리를 부시나. 뱃전의 장정은 돌아앉아 강물을 보고, 사공은 어깨 빠져라 노를 젓는다. 밀양강(남천강) 푸른 물에 영남루와 능수버들이 두둥실. 옆의 빈 배는 누굴 태우려나…. 1910년대의 수묵담채 같은 사진 한 장. 조선시대 끝자락이 잡힐듯 말듯, 불러도 대답없는 나룻배. 아스라한 흑백의 대비가 추억의 누선을 건드린다. 100여년 전 영남루엔 사람이 드물구나. 영남루 좌우의 능파각과 침류각, 오.. 2007. 11. 29.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5)...아치교⑤(구조계에따른 분류1) ※ 본 포스트는 아래와 같이 새롭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2021.10.24 - [교량의종류] - 3.5. (3) 아치교의 분류-3(아치구조) ① 2힌지 아치교 (2-Hinged Arch Bridge) 일반아치교에서 가장 폭넓게 사용되는 형식으로 미관 및 경제성이 우수하나 지반상태가 좋은곳에서 적용가능합니다. 아치리브를 트러스구조의 Braced Rib를 적용하였을 경우 300m 이상의 교량에도 적용가능합니다. ② 3힌지 아치교 (3-Hinged Arch Bridge) 3힌지 아치는 2힌지 아치의 크라운에 힌지를 추가한 것으로 정정구조입니다. 그러나 교량의 중앙에 힌지를 설치하는 것은 힌지에서의 처짐이 과다해지고, 내구성이 저하되어 초기 아치교 이후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구조입니다. ③ 고정 아치교 (F.. 2007. 11. 29.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5)...아치교④(아치교의 분류) ※ 본 포스트는 아래와 같이 새롭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2021.10.24 - [교량의종류] - 3.5. (3) 아치교의 분류-1 아치교는 아치교의 구성요소인 상판, 스팬드럴, 아치리브등의 단면형식과 특성, 그리고 구조형식에 의해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아치교의 분류를 나타낸 것입니다.(엄청 많죠? 여기 없는 것들도 꽤나 많습니다.) ①주행노면, ②아치리브의 지지상태, ③아치리브의 형상, ④보강형의 구조, ⑤보강형의 단면, ⑥바닥판 구조, ⑦현재 배치, ⑧사재 형상, ⑨사재의 특성으로 아치교를 분류하였고 ⑩은 ①~⑨를 조합한 것입니다. 여기서 a는 기본형식, c와 d는 응용된 형식입니다. ①주행노면위치에 따른 분류 ②아치리브의 지지상태에 따른 분류 ③아치리브의 형상에 따른 분류 ④보강형의 구.. 2007. 11. 28.
지붕이 있는 다리... 중국의 풍우다리 인터넷검색을 하다 재밌는 교량을 발견했습니다. 중국에는 풍우교라는 독특한 다리가 있습니다. 풍우교(風雨橋)는 화교(花橋)라고도 불리는데, 일반 다리와 달리 다리위에 지붕이 씌워져 있고 교각부에는 고루(큰북을 달아놓은 누각)가 있는 독특한 다리입니다. 다리양쪽에는 의자가 있어 마을사람에게는 화합의 장이 되고 길가던 나그네의 쉼터 역활도 하는 다리입니다. 얼마전 전주천에 한옥다리를 세운다는 기사를 소개해 드렸는데... 차라리 한옥다리를 이런식으로 세웠으면 어떨까 싶습니다. 좀더 간결하게 해서요...^^ 보차도 겸용이니까 지붕씌우는건 좀 그렇네요... 매연이 지붕에 꽉 차겠네요... 아무튼 나중에 보도교 설계하면 함 써먹어봐야겠습니다. (근데 비싸서 안되겠지요...-.-;;) 풍우다리 중 청양(程陽)풍우다리는.. 2007. 11. 28.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5)...아치교③(아치교 일반) ※ 본 포스트는 아래와 같이 새롭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2021.07.21 - [교량의종류] - 3.5. (2) 아치교 일반 아치교는 곡형 또는 곡트러스를 쪽을 상향으로 하여 양단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지지한 아치를 주부재로 하는 교량입니다. 아치교는 지간 50~300m 이상의 교량에 광범위하게 적용될수 있으며 미관이 수려하여 예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던 교량형식입니다.(저 또한 사랑하고 있습니다.) 아치의 힌지갯수에 따라 2-hinged arch, 3-hinged arch, Fixed-arch로 분류하며, 구조형식에 따라 로제아치, 닐슨아치, 랭거아치, 타이드 아치교등이 있고, 또한 아치리브의 형식에 따라 솔리드리브아치(solid rib arch), 브레이스드리브아치(braced rib ar.. 2007. 1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