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거더교47

PSC박스거더교 가설공법 PSC박스거더교는 주로 현장타설로 건설하게 되며, 현장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지보를 어떠한 방법으로 하느냐에 따라 보통 FSM, ILM, MSS, FCM 등으로 구분합니다. 이러한 가설 공법은 현장의 환경(장해물, 교각의 높이 등), 교량의 요구 조건(요구 지간장 등)에 따라 결정하게 되는데 공법에 따라 시공 중의 하중이 교량 설계를 지배하는 경우가 많아 시공단계 해석을 실시하여 프리스트레스 강연선 배치 등을 설계에 반영합니다. 보통 ILM, FCM의 경우 FSM, MSS보다 프리트스트레스 강연선이 많이 소요됩니다. 박스거더를 현장에서 타설하지 않고 제작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현장이동 및 거치하여 시공하는 경우는 보통 PSM으로 분류하며, PSM의 경우에도 Segment의 분할이나 가설방법에 따라 FSLM,.. 2021. 6. 8.
3.3 (6) 강상판형교 강상판형교(鋼上板桁橋, steel orthotropic deck bridge)는 교량의 바닥판을 콘크리트가 아닌 강판으로 제작한 교량형식으로 2차 세계대전 후 도로교의 사하중 경감을 위하여 독일의 Pelikan 교수가 해군 군함 갑판의 구조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서 교량에 처음으로 적용된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반적으로 널리 적용하는 콘크리트 바닥판 대신 종방향 보강재(보통 U형-Rib를 사용)로 보강한 두께 10~15mm 정도의 얇은 강판으로 바닥판을 제작함으로써 콘크리트 바닥판 교량 대비 자중을 25% 정도까지 줄일 수 있어 일반적인 강합성교량에 비해 구조적 효율성이 높고 자중이 작아 내진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하지만 부재의 개수와 용접등 연결부가 많고 얇은 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설계 및 제작시 .. 2021. 5. 23.
3.3 (5) PSC 박스 거더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PSC, Prestressed Concrete) 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교량의종류] -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PSC 박스거더교의 가설공법은 아래 포스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교량의종류] - PSC박스거더교 가설공법 PSC 박스 거더교는 콘크리트 박스 형태의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교량으로 50m에서 100m가 넘는 교량까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PSC 박스 거더교는 강교에 비해 설계가 조금 까다로운데 이는 콘크리트의 크리프, 건조수축 등 시간에 따른 비선형 물성치를 고려하여야 하며, 시공 단계에서의 조건이 교량설계를 좌우하는 경우가 많아 시공단계 검토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보통 현장에서 직접 타설하여 시공하므로 강교에 비해.. 2021. 4. 23.
3.3 (4) 스틸박스 거더교 스틸박스 거더교는 철판으로 제작된 박스 형태의 거더를 사용하는 교량으로 지간장 50~60m가 경제적입니다. 스틸박스 거더교는 강합성상형교(鋼合成箱桁橋, 슬래브와 거더의 합성구조 + 상자형 거더)라고도 부르는데 강교중 가장 널리 사용하는 교량형식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상자형 거더는 비틀림에 대한 저항이 우수하고 교량폭이 변하는 곳에 적용하기 쉬워 곡선이나 교량의 확폭이 필요한 고속도로 IC의 교량에는 거의 대부분 스틸박스 거더교로 설계되고 있습니다. (예: http://kko.to/ryPmsM_DT, ※ 360도 둘러보면 모든 교량이 스틸박스거더교이다) 스틸박스 거더교는 보통 공장에서 제작된 박스를 현장에 반입 후 볼트나 용접 이음으로 중블럭으로 조립하고 크레인으로 거더를 거치 후 상부슬래브를 타설 하는 .. 2021. 4. 20.
3.3 (3) 플레이트 거더교 플레이트 거더교(Steel Plate Girder Bridge)는 강판형교(鋼板桁橋)라고도 하며 철판으로 I형의 거더를 만들고 그위에 콘크리트 슬래브를 얹은 형태의 교량으로 강 거더교의 가장 기본적인 형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도로교 기준 보통 지간장 50m 정도가 경제적이며 휨, 전단에 대한 내하력이 우수하여 많이 과거 널리 시공되었으나 최근에는 다른 강교에 비해 그리 많이 적용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곡선교나 확폭부에 적용이 어렵고 브레이싱 등 부부재가 많아 시공성 및 유지관리성이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고강도, 두꺼운 후판의 제조 및 용접기술의 발전함에 따라 최근에는(2000년도 초반) 플레이트 거더교 설계 합리화를 통해 고강도 강재와 두꺼운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거더수와 부부재를 줄인(강재량.. 2021. 4. 15.
3.3 (2) PSC빔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PSC, Prestressed Concrete) 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교량의종류] -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PSC 빔교는 I형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 위에 교량 슬래브를 얹은 형태의 교량으로 주로 20~40m의 지간장에 많이 적용되는 형식의 교량으로 강재로 만든 거더교에 비해 공사비가 저렴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교량형식 중에 하나입니다. 특별히 40m 이상의 지간장이 필요하지 않고 다리 밑 공간의 제약이 없는 고속도로의 본선 교량, 소하천을 통과하는 교량에 주로 적용됩니다. 곡선으로 만들기 어려운 PSC 빔의 특성상 급한 곡선이나 도로 폭이 변하는 교량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니다. PSC 빔교는 보통 현장의 제작장에서 PSC빔을 제작하고 크레인을 .. 2021. 4. 13.
3.3 (1) T형교 사각형의 거더와 바닥판 합성한 T자 모양(아래 그림과 참조)의 거더를 이용한 형식의 교량을 T형교(T-桁橋)라고 합니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T형교는 20~30m 정도까지의 지간에 대하서 주로 적용되며, 국내에서는 과거 작은 하천을 횡단하는 소교량에 많이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잘 적용되지 않습니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I-거더에 비해 단면이 단순하여 시공이 간편하나 단면의 효율성은 I형거더에 비해 조금 떨어집니다. T형교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40~50m 경간장에 적용하기도 하는데 비교적 최근(2000년도 초반)에는 T형교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거더 갯수를 줄인 PSC Double T Beam교가 국내에 적용되기도 하였습니다. (고창-장성 고속도로상 서삼교와 안평교에 국내 최초 적용된 것으로 알고 .. 2021. 4. 8.
3.3 거더교 두 지점간 수평으로 배치되어 외부하중에 휨으로 저항하는 구조 부재를 빔(Beam, 보, 형(桁))라고 합니다. 그 중 전체 구조에서 주 하중을 받는 빔(보)부재를 거더(Girder, Main Beam, 대들보, 주형(主桁))라고 하여 구분합니다. 이러한 거더를 두 지점 사이에 주부재로서 배치하고 그 위에 차량 등이 지나갈수 있게 바닥판을 배치한 교량을 거더교(Girder Bridge, 형교, 桁橋)라고 합니다. 거더교는 폭 넓은 범위의 지간장에 적용이 가능하고 다른 구조형식 교량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성이 우수하여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교량 형식입니다. 거더교는 보통 25~200m의 폭넓은 범위의 지간장에 적용하며 300m가 넘는 교량에도 적용한 사례(Stolmasundet Bri.. 2021. 4. 1.
2.1 교량의 종류 - 상부구조 형식별 교량의 종류를 분류하는 방법은 사실 명확하게 정립된 방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제 나름대로 정리한 것이 제 블로그의 교량의 종류 카테고리에 있는 글 들이며 당연히 제 글들이 정답은 아니라는 점 밝혀드립니다. 교량은 분류하는 기준은 상부구조의 형식, 지지조건, 거더와 상판의 연결, 재료, 교면 위치 및 용도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보통 상부구조의 형식에 따른 분류가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하지만 교량형식명에 반드시 상부구조의 형식만을 나타내는 건 아니며 재료나 교면 위치 등 다른 세부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강합성상형교(Steel Box Girder Bridge) 같은 경우, 아래와 같은 의미/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강(鋼) 합성(合成) 상(箱) 형(桁) .. 2021.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