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량의종류63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콘크리트는 ‘다지다’ 혹은 ‘누르다’는 뜻의 라틴어 "concretus" 유래되었다고 하며 로마시대에 화산회와 석회석을 써서 만들어진 것이 그 시초라고 알려져 있으며 현대의 콘크리트는 19세기 초기에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가 발명된 후 시멘트, 물, 자갈, 모래를 배합하여 굳힌 재료를 이야기합니다. 콘크리트는 기존에 사용되던 석재와 비교하여 비슷한 성능을 가지면서도 거푸집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형상을 만들기 쉬워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잘 알려진 대로 콘크리트라는 재료는 압축에는 강하지만 인장에는 약한 재료입니다. 외력에 의해 보에 아래와 같이 하중에 의한 휨이 발생하게 되면 그림과 같이 보의 상면에서는 압축력이, 하면에서는 인장력이 발생합니다. 인장에 약한 콘크리트는 인장력이 발.. 2021. 4. 25.
3.3 (5) PSC 박스 거더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PSC, Prestressed Concrete) 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교량의종류] -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PSC 박스거더교의 가설공법은 아래 포스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교량의종류] - PSC박스거더교 가설공법 PSC 박스 거더교는 콘크리트 박스 형태의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교량으로 50m에서 100m가 넘는 교량까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PSC 박스 거더교는 강교에 비해 설계가 조금 까다로운데 이는 콘크리트의 크리프, 건조수축 등 시간에 따른 비선형 물성치를 고려하여야 하며, 시공 단계에서의 조건이 교량설계를 좌우하는 경우가 많아 시공단계 검토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보통 현장에서 직접 타설하여 시공하므로 강교에 비해.. 2021. 4. 23.
3.3 (4) 스틸박스 거더교 스틸박스 거더교는 철판으로 제작된 박스 형태의 거더를 사용하는 교량으로 지간장 50~60m가 경제적입니다. 스틸박스 거더교는 강합성상형교(鋼合成箱桁橋, 슬래브와 거더의 합성구조 + 상자형 거더)라고도 부르는데 강교중 가장 널리 사용하는 교량형식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상자형 거더는 비틀림에 대한 저항이 우수하고 교량폭이 변하는 곳에 적용하기 쉬워 곡선이나 교량의 확폭이 필요한 고속도로 IC의 교량에는 거의 대부분 스틸박스 거더교로 설계되고 있습니다. (예: http://kko.to/ryPmsM_DT, ※ 360도 둘러보면 모든 교량이 스틸박스거더교이다) 스틸박스 거더교는 보통 공장에서 제작된 박스를 현장에 반입 후 볼트나 용접 이음으로 중블럭으로 조립하고 크레인으로 거더를 거치 후 상부슬래브를 타설 하는 .. 2021. 4. 20.
3.3 (3) 플레이트 거더교 플레이트 거더교(Steel Plate Girder Bridge)는 강판형교(鋼板桁橋)라고도 하며 철판으로 I형의 거더를 만들고 그위에 콘크리트 슬래브를 얹은 형태의 교량으로 강 거더교의 가장 기본적인 형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도로교 기준 보통 지간장 50m 정도가 경제적이며 휨, 전단에 대한 내하력이 우수하여 많이 과거 널리 시공되었으나 최근에는 다른 강교에 비해 그리 많이 적용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곡선교나 확폭부에 적용이 어렵고 브레이싱 등 부부재가 많아 시공성 및 유지관리성이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고강도, 두꺼운 후판의 제조 및 용접기술의 발전함에 따라 최근에는(2000년도 초반) 플레이트 거더교 설계 합리화를 통해 고강도 강재와 두꺼운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거더수와 부부재를 줄인(강재량.. 2021. 4. 15.
3.3 (2) PSC빔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PSC, Prestressed Concrete) 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교량의종류] -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PSC 빔교는 I형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 위에 교량 슬래브를 얹은 형태의 교량으로 주로 20~40m의 지간장에 많이 적용되는 형식의 교량으로 강재로 만든 거더교에 비해 공사비가 저렴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교량형식 중에 하나입니다. 특별히 40m 이상의 지간장이 필요하지 않고 다리 밑 공간의 제약이 없는 고속도로의 본선 교량, 소하천을 통과하는 교량에 주로 적용됩니다. 곡선으로 만들기 어려운 PSC 빔의 특성상 급한 곡선이나 도로 폭이 변하는 교량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니다. PSC 빔교는 보통 현장의 제작장에서 PSC빔을 제작하고 크레인을 .. 2021. 4. 13.
3.3 (1) T형교 사각형의 거더와 바닥판 합성한 T자 모양(아래 그림과 참조)의 거더를 이용한 형식의 교량을 T형교(T-桁橋)라고 합니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T형교는 20~30m 정도까지의 지간에 대하서 주로 적용되며, 국내에서는 과거 작은 하천을 횡단하는 소교량에 많이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잘 적용되지 않습니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I-거더에 비해 단면이 단순하여 시공이 간편하나 단면의 효율성은 I형거더에 비해 조금 떨어집니다. T형교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40~50m 경간장에 적용하기도 하는데 비교적 최근(2000년도 초반)에는 T형교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거더 갯수를 줄인 PSC Double T Beam교가 국내에 적용되기도 하였습니다. (고창-장성 고속도로상 서삼교와 안평교에 국내 최초 적용된 것으로 알고 .. 2021. 4. 8.
3.2 라멘교 라멘(Rahmen)은 Frame의 독일어로 수평부재인 보와 수직부재인 기둥을 강결로 연결하여 외부 하중을 보와 기둥의 휨강성으로 저항할 수 있게 하여 전체구조의 강성을 높인 구조를 말합니다. 이러한 라멘구조를 교량에 적용한 라멘교는 상부구조를 하부구조로 지지하는 대신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강결로 연결함으로써 상부구조에 휨모멘트를 하부구조가 함께 부담할 수 있어 슬래브, 거더교에 비해 상부구조를 최적화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라멘교는 교각의 높이가 그리 높지않고 다리밑 공간 확보가 필요한 도로의 횡단교량이나 하천통과 구간등에 15~30m 지간장으로 주로 적용되며, 고가 철교 / 정거장에 연속 라멘교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상부, 하부구조가 연결된 라멘교는 교량받침이나 신축이음이 필요하지 않.. 2021. 3. 27.
3.1 슬래브교 슬래브는 얇고 넓은 콘크리트 바닥판을 말하며, 이 슬래브를 상부구조로 사용한 교량이 슬래브교입니다. 슬래브교는 단순교인 경우 5~15m, 연속교는 10~30m 정도 지간에 주로 적용하며, 슬래브의 두께는 보통 지간장의 1/16~1/20 정도가 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슬래브교는 거더교에 비해 상부구조의 높이가 낮으므로 다리 밑 공간 확보가 피요한 곳에 유리합니다. 슬래브교는 지간이 늘어날수록 자중 증가로 인해 효율이 많이 떨어지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슬래브 내부에 빈 공간을 만들어 자중을 줄이거나 PSC 강재를 도입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슬래브의 구조에 따라 슬래브교(Solid Slab Bridge), 중공 슬래브교(Hallow Slab Bridge), PSC 슬래브교(Preestressed .. 2021. 3. 26.
교량의 종류 (목차) 그 동안 교량의 종류 관련하여 작성된 저의 글들이 여러 블로그나 카페에 통째로 올라가 있거나, 업체 브로셔, 심지어는 토목시공학책에 이미지의 워터마크까지도 지우고 실려 있는 것도 보았습니다. 사실 교량의 종류를 정리하기 시작한 2000년도 초반, 사회적으로 저작권에 대한 인식도 낮았고, 저 또한 웹에서 퍼온 이미지들이 많아 크게 신경쓰지 않았지만, 시대가 바뀐 요즘 새로 정리하는 포스트들은 저작권 관련해서 최대한 신경을 쓰려고 합니다(가능한 제가 직접 찍고 작성한 이미지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포스트 맨 밑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Creative Commons) 표시에도 알수 있듯이 제 포스트들은 상업적 이용과 콘텐츠 변경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블로그나 카페에 통째로 퍼가서 올리는 것은 자제해 주.. 2021.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