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90

백야대교...(1) 신문에 백야대교 완공 기사가 났군요.. 여수에서 고흥까지 총 11개소의 교량으로 연결하는 프로젝트인 여수-고흥간 연륙교 공사의 첫 교량이죠... 11개 교량 모두 다른형식으로 다 완공되면 그야말로 교량 박물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도.. 꼭 한번 가보고 싶네요...^^ 근데.. 저 아치리브 모양은 어디서 본듯한...^^; (스페인 교량과 많이 비슷하져... 거긴 케이블이 1면..) 여수반도와 고흥반도를 잇는 11개의 연륙·연도교중 여수시 화양면 안포리와 화정면 백야리를 연결하는 백야대교가 착공 5년만에 14일 준공된다. 전남도는 13일 “사업비 3백77억원을 들여 2000년 6월 착공한 백야대교는 최대경간장이 183m인 닐센아치형 교량으로 최신공법과 첨단기술이 집약된 교량”이라고 밝혔다. 백야대교는.. 2005. 4. 14.
엠파스 리포트검색... 엠파스에서 검색을 하다보니 리포트검색이라는 것이 있더라구요... 교량의 종류부터 해서 한강의 교량등... 제 블로그에서 다루는 아이템이 많이 있네요... 근데.. 허걱~ 다운받는데 돈을 내야되네요... 순간.. 나도 해볼까? 하는 생각이..^^; 대부분 제 홈에 오시는 분들이 리포트 때문에 검색엔진을 통해 오시는데요... 검색어는 "교량", "교량의종류", "한강교량"등입니다. 이러한 자료를 만들어서 엠파스에 올리고 이홈페이지는 맛보기를 보여주는것으로 이용하면...후후.. 돈 좀 벌수 있을까요? ^^; 저번에 학교갔을때 어느 교수님게서 인터넷에서 검색해서 카피하여 편집하는 리포트들 때문에 학생들이 리포트를 써와도 내용을 잘 모른다고 걱정을 하시더라더군요.. 그래서 출력하지 말고 손으로 쓰라고 말씀하셨다는.. 2005. 4. 12.
수표교 (마전교) 원래 청계천에 가설된 석교로 가설시기는 1421년(세종3년)으로 추정된며 당시는 근처에 말을 매매하던 마전(馬廛)이 있어 마전교라고도 불렸다. 영조 36년(1760)에 하천 바닥을 파내고 수표교 돌기둥에 '경진지평(庚辰地平)' 네자를 새겨 준천(濬川)의 표준을 삼고 또 따로 수표석(水標石)을 세워 장마철에 물이 불어나는 상황을 수시로 적어 홍수에 대비하였으며, 수표교란 이 수표석에 유래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청계천 복개공사 때 철거되어 현재 장충단공원 내에 보존되어 있으며,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8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곳에 같이 놓여 있던 수표석주(手標石柱)는 보물 제838호로 지정되어 청량리 세종기념회관 뜰 안으로 옮겨져 있다. 교량의 규모는 길이가 27.5m, 폭 7.5m, 높이가 4m 이다. .. 2005. 4. 11.
살곶이다리(전관교) 성동구 행당동 58번지에 있는 조선시대 가장 긴 돌다리인 살곶이다리는 1967년 12월15일 사적 제160호로 지정된 교량입니다. 1973년 복원공사를 할당시 하천폭이 넓어져 콘크리트교량으로 연장 증설하였다고 합니다.(-.-;;) 교폭은 20尺(6m), 총연장 285尺(78m)로 조선조 세종2년(1420년)에 착공하여 성종 13년 (1482년)에 완공 되었으며 교각을 횡렬로 4열, 종열로 22열을 배치하고 3장의 장대로 건너 지른위에 다시 동틀돌을 놓아 청판돌을 받게 되어 있으며, 좌우의 교안 을 장대석으로 쌓았다 기둥돌 아래는 네모난 주초가 있고 그것은 물밑 받침돌에 의하여 지탱 되도록 하였으며, 기둥은 유수의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마름모꼴로 다듬는 등 토목공학적으로도 우수한 교량입니다. 재료는 화강석.. 2005. 4. 10.
진천농교(농다리)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굴티마을) 앞 세금천에 축조된 고려시대 석교로서 총연장 93.6m, 교폭 3.6m, 교각의 두께 1.2m, 경간장은 80㎝입니다. 굳이 교량형식을 예기하자면 거더교가 될까요? ^^ 《상산지(常山誌)》에 의하면, 고려 고종 때 권신 임연(林衍)이 그의 전성기에 출생지인 구곡리 앞 세금천에 놓은 것이라 하며 30×40㎝의 사력암질(沙礫岩質) 자석(紫石)을 물고기비늘처럼 쌓아올렸으며, 석회로 보강하지도 않았으나, 장마에도 유실됨이 없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고 하네요.. 교각을 작은 돌로 쌓은 방법, 교각이 유실되지 않도록 축조한 토목공학적 배려 등이 전국적으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매우 귀한 석교로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조명까지는 모르겠는데 분수는 좀... 2005. 4. 10.
한강의교량(2)...광진교 광진교가 위치하고 있는 광나루는 옛날부터 충무를 거쳐 동래로 또는 원주를 거쳐 동해안으로 빠지는 요충에 있는 유명한 도선장이었고 1920년대는 발동기선으로 화물차나 버스 같은 것을 건너게 하던 곳이었다. 그러나 한번 홍수가 나면 수일간에 걸쳐 교통이 두절되어 그 불편함은 이루 헤아릴 수 없었고 1930년대를 전후해서 교통량이 격증하여 하루에 강을 건너는 자동차, 우차, 손수레 등이 수백대에 달하게 되었으므로 도로교통의 원활한 수송을 기하고자 다리를 만들게 되었다. 광진교는 한강인도교에 이은 두 번째의 한강교량으로 843,000원의 공사비를 들여 1934년 8월에 착공하여 1936년 10월에 준공되었다. 우연히도 광진교의 착공 · 준공시기는 한강인도교 개축 때의 착공 · 준공시기와 동일한데, 개축 전의 구.. 2005. 4. 8.
한강의교량(1)...강동대교 후후.. 드디어 한강의 교량시리즈를 시작할까 합니다. 강동대교부터 김포대교까지 총 27개의 교량을 올리겠습니다. 올리는 순은 한강의 상류부터 올리겠습니다. 첫번째는 강동대교입니다. 강동대교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노선중 서울시 강동구 강일동과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을 잇는 한강 횡단교량으로 1988년 2월 착공하여 1991년 12월에 준공되었습니다. 전교량 모든 PSC 박스거더교로 설계되었고, 특히 중앙부주교량은 캔틸레버공법(FCM)의 교량으로 형고는 지점부 7.0m에서 경간중앙부 3.0m의 높이로 변화되고, 나머지 구간은 형고 3.0m로서 지보공공법(FSM)으로 가설되었습니다. 2005. 4. 6.
템즈 강 위의 Chelsea Bridge 템즈 강 위의 Chelsea Bridge 중앙지간은 332 피트로 자정식 현수교이다. 1937년에 완공 (런던,영국) 2005. 4. 3.
Bosporus Bridge Bosporus Bridge 아시아와 유럽의 경계인 보스포러스 해협의 교량 1970년에 완공되었고,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한다. 지간길이 5118 피트로 유럽에서 가장 긴 교량이다.(이스탄불,터키) 보강형 부분 강상판인것 같군요... 2005.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