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하부구조로 넘어왔습니다. ^^

교대는 대부분 땅에 묻혀있는데 교대 구조물만 그림으로 나타내면 왼쪽의 그림과 같습니다.
옆의 그림에서 날개벽은 교대 뒷채움 토사가 옆으로 흘러내리지 못하게 막는 역활을 하며 접속슬래브는 토공구간이 침하하여 교량부와 단차가 생겨 포장등의 균열시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합니다.
교대는 그 형상에 따라 역T형 교대, 중력식 교대, 부벽식 교대로 나뉠수 있는데 현재는 대부분 역T형 교대를 사용합니다.(다른 형식의 교대는 한번도 설계한적 없습니다.) 다만 중력식 교대는 오래된 소규모 교량이나 철도교에 적용되어 있더군요... 이 외에도 박스형 교대, 라멘 교대, 중간이음식 교대등이 있습니다.
'교량의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각의 정의와 구성 (2) | 2007.12.17 |
---|---|
교대의 종류 (6) | 2007.12.13 |
교대의 정의와 구성 (2) | 2007.12.13 |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9)...Extradosed교②(케이블노출에따른분류) (6) | 2007.12.12 |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9)...Extradosed교① (4) | 2007.12.12 |
교량의종류 (40) | 2007.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