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역T형 교대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교대로 구체자중이 작고 흙의 중량으로 안정을 유지하므로 경제적이며, 뒷채움부의 시공도 용이합니다. 적용 높이는 약 12m 정도 까지로 일반적인 지반조건에 적용합니다.
② 중력식 교대
중력식 교대는 무근콘크리트의 구체 자중으로 외력에 저항하는 교대로 지지지반이 양호한 곳에 적용될수 있습니다. 적용높이는 5~6m정도 까지입니다.
보통 소규모 교량이나 철도교에 적용하나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③ 부벽식 교대
높이 10m 정도 이상일때 역T형 교대 보다 유리하며 부벽의 배근이나 콘크리트 타설에 어려움이 따릅니다. 또한 교대 배면 뒤새움부의 시공이 곤란합니다.
부벽식 교대 역시 최근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 외에도 박스형 교대, 라멘 교대, 중간이음식 교대등이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교대로 구체자중이 작고 흙의 중량으로 안정을 유지하므로 경제적이며, 뒷채움부의 시공도 용이합니다. 적용 높이는 약 12m 정도 까지로 일반적인 지반조건에 적용합니다.
② 중력식 교대
중력식 교대는 무근콘크리트의 구체 자중으로 외력에 저항하는 교대로 지지지반이 양호한 곳에 적용될수 있습니다. 적용높이는 5~6m정도 까지입니다.
보통 소규모 교량이나 철도교에 적용하나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③ 부벽식 교대
높이 10m 정도 이상일때 역T형 교대 보다 유리하며 부벽의 배근이나 콘크리트 타설에 어려움이 따릅니다. 또한 교대 배면 뒤새움부의 시공이 곤란합니다.
부벽식 교대 역시 최근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 역T형 교대 |
![]() 중력식 교대 |
![]() 부벽식 교대 |
이 외에도 박스형 교대, 라멘 교대, 중간이음식 교대등이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