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수교의 구성
현수교의 현수(懸垂橋는 매달을현, 드리울수)는 줄을 늘어뜨려 매단다는 뜻입니다.
주케이블을 늘어뜨려 양끝단을 고정시키고 주케이블에 수직부재(케이블)를 매달아 보강형을 지지하는 교량을 말합니다.
현수교는 여러가지 교량형식중 가장 긴 지간장에 적용되는 형식입니다. 세계 최장경간 교량은 일본의 아카시대교로 중앙경간 1991m의 타정식 현수교입니다.
또한 보강형을 수직으로만 지지하므로 사장교와 같이 보강형에 축력이 걸릴 염려가 없어 작은단면으로도 적용 가능합니다. 다만 보강형 강성이 작을경우 진동의 우려(타코마교 붕괴같은 일이 일어날수 있습니다.)가 있으므로 이에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보강형의 형식은 트러스와 박스형태가 주로 사용되며, 주케이블의 고정방법에 따라 타정식(earth-anchored)과 자정식(self-anchored)현수교로 분류됩니다.
광안대교 - 중앙경간 500m(국내최대) | 아카시대교 - 중앙경간 1991m(세계최대) |
'교량의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량의종류 (39) | 2007.12.11 |
---|---|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8)...현수교②(주케이블고정방법) (2) | 2007.12.10 |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8)...현수교① (10) | 2007.12.10 |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7)...사장교⑤(보강형형식) (3) | 2007.12.09 |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7)...사장교④(횡방향케이블배치) (2) | 2007.12.08 |
상부구조에 따른 교량의 종류(7)...사장교③(종방향케이블배치) (7) | 2007.12.08 |